세계 신도시 개발사례

영국의 밀턴케인즈

영국이미지

  • 미국 플로리다주 월튼 카운티
  • 1984~
  • 30,314㎡
  • 1만 2,000명(현재 8,000명 거주)
  • 3,300가구(현재 2,300가구 건설)
  1. 레져, 휴양기능 극대화

표

  • 신도시의 대부분을 공공부문이 아닌 민간부문에 의해 개발이 이루어짐.
  • 주로 대도시 교외에 모도시와 분리되지 않은 상태의 Bed Town으로 개발됨.
  • 산업시설이 신도시내에 입지하지 않으므로서 신도시 주민의 대부분이 모도시로 통근 하는
  • 기존대도시의 위성도시적 성격이 많이 가지게 되어 고용산업도 모도시에 의존하는 성향이 있음.
  • 신도시의 대부분이 국가의 재정지원없이 개발됨.

영국의 밀턴케인즈

시사이드 뉴타운은 1984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면적은 30,314㎡으로 분당 신도의 1.5배정도 규모. 주택은 2,300가구에 8,000명의 인구만이 거주하며
19,834㎡의 부지에 9만 7,500가구의 주택이 건설되어 39만명이 모여사는 분당신도시에 비하면 인구밀도가 겨우 1.5% 수준으로 매우 괘적하다고 할 수 있음.
시사이드 뉴타운이 자리잡은 곳은 바닷가의 벌판으로 부동산 개발전문업체인 데이비랜드사가 부지를 대규모로 매입, 휴양과 레져기능을 극대화한"디럭스 시티"로 조성해 수요자들에게 분양한 민간개발 도시임.
시상이드 뉴타운 건설의 주안점은 무엇보다도 주거 공간ㅇ으로서 최고의 괘적성을 확보하는데 둠, 이를 위해 도시 설계 및 개발과정에 일관되게 적용해 온 특징은 "데시벨(Decibile)제로"원칙, 이는 집에서는 쾌적한 환경속에서의 휴식만을 취하도록 주거지구에서 소음원을 완전 배제하는 것임.
이같은 "데시벨 제로"원칙은 독특한 Zoning개념의 도시설계로 구체화되고 있음. 이는 도로를 따라 각종 상가, 식당 등 편의시설을 배치하는 우리의 가로 개념 도시개발 방식과는 달리 백화점 등 대형시설물은 물론 식당, 판매시설, 약국 등에 이르는 근린생활시설까지 모두 주거단지에서 뚝 떨어진 곳에 한데 모아 놓은 것.이에 따라 시사이드 뉴타운의 백화점, 호텔, 업무용 빌딩 등 대형시설물은 주거단지로부터 3km이상 떨어진 곳에 조성한 타운센타에서만 들어서 있음.
시사이드 뉴타운은 주거 파라다이스 실현의 꿈이 구체화된 미국식 주거단지의 전형으로 미국의 도시개발 철학이 가장 잘 드러나 있는 곳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