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신도시 개발사례

영국의 밀턴케인즈

영국이미지

  • 런던과 버킹검 중간(런던 북쪽 84km)
  • 88,560천㎡(여의도의 30배)
  • 165,000명(주택수:75,000가구)
  • 200,000명(주택수:80,000가구)
  • 1967~2006년 이후
  1. 1967~2006년년 이후
  2. 1965 별도의 개발공사 설립(Milton Keynes Dyelopment)설립
  3. 1965 입지조사
  4. 1966 공청회 개최
  5. 1967 뉴타운 입지 선정
  6. 1970 뉴타운 계획 완료
  7. 당초 완료시기를 1995년(25년)을 목표로 하였으나 2006년 이루로 수정

표

영국의 밀턴케인즈

토지매입은 75년 3월 까지 신도시 지정시의 공지 7,282ha중 5,570ha(76.4%)(농지가격으로 구입,개발이익은 공공부문에 귀속)가 이루어 졌으며,
주택건설은 23,672동 (임대 77%, 분양23%)이며, 고급공단, 업무용지, 간선도로를 우선적으로 건설하였음.
주택건설의 2/3를 지방당국이 건설하고, 1/3을 민간개발업자가 건설함. 사업비는 1981년 기준으로 볼 때 700백만 파운트(한화 8,159억원)로서 개발공사가 48%, 지자체, 공공단체가 24%, 민간업이 28%를 담당하였음.
밀턴케이즈는 개발이전의 숲이나 녹지를 훼손하지 않은 채 전통과 첨단이 공존하는 도시로 개발됨. 6층까지 허용된 일부 중심지역(CMK)을 제외하고는 모두 3층으로 층고가 제한되어있음. 공원관리위원회라는 독립기구를 설치 매년 110만 그루의 나무를 심고 있으며 그 결과 신도시 전체의 1,400만 그루의 나무가 거대한 숲과 녹지를 이루고 있음, 아울러 3,000개의 국내외 기업 및 공장을 입주시켜 주거와 산업지역이 조화를 이룬 자족도시로 자리 매김하고 있음.